NEWS

실록출판사 경제 뉴스 Business Leaders Club

 

 

 

비즈니스리더스클럽은 대한민국 경제를 이끄는 리더들의 인사이트를 

깊이 있게 조명하는 온라인 경제 뉴스 플랫폼입니다.

최신 비즈니스 트렌드, 산업 분석, 경영 전략을 전문적으로 다루며,

미래를 준비하는 기업과 리더들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News 건국대, 선진 축산기술 전수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는 3월 20일 라오스 시엥쿠앙주에 ‘축산기술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센터 설립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인 ‘베트남 축산 고등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국립농업대학교 역량강화 사업(이하 베트남 국립농대 사업)’과 ‘라오스 중북부지역 농촌개발사업(이하 라오스 중북부 사업)’의 삼각 기술협력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이번 개소식에는 △건국대학교 축산고등교육센터(KUVEC) 김수기 센터장(베트남 국립농대 사업 책임자) △한국개발전략연구소(KDS) 윤해진 부원장(라오스 중북부 사업 책임자) △베트남 국립농업대학교(VNUA) 좌인 부학장 △시엥쿠앙주 농림부 쏨싸몬 국장 등이 참석해 센터의 개소를 축하했다.

신설된 축산기술센터는 한국개발전략연구소(KDS)가 수행 중인 KOICA의 ‘라오스 중북부 농촌개발사업(2021~2025년, 총 1250만달러)’의 일환으로, 축산 연구와 실습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했다. 센터에는 △행정동 △축사 △목초 저장시설 △축산 실험실 △인공수정 기자재 △목초 종자 저장시설 △농기계 보관시설 등이 조성됐다.

베트남 국립농업대학교 교수진과 시엥쿠앙주 농림부 공무원들은 센터 개소에 앞서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주요 교육 내용은 △소 사양관리 △인공수정 기술 △질병 예방 및 치료 △거세 및 도축기술 △축사시설 관리 등이다.

김수기 센터장과 윤해진 부원장은 “이번 사업은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축산기술 공유와 현지 축산 인력의 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시엥쿠앙 축산기술센터 개소를 통해 지역 축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KOICA의 지원 아래 시엥쿠앙주 축산기술센터와 베트남 국립농업대학교 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축산 발전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좌인 베트남 국립농업대학교 부학장은 “센터 개소로 라오스 내 인공수정 기술이 한층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베트남이 보유한 축산기술을 적극적으로 공유해 라오스의 축산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쏨싸몬 시엥쿠앙주 농림부 국장도 “이번 축산기술센터 설립은 지역 축산 발전의 전환점이 될 것이며, 한국과 베트남의 선진 축산기술 도입을 통해 지역 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엥쿠앙주는 선정된 73개 축산 농가와 인근 축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소 사양관리, 인공수정 등 다양한 축산기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KOICA와 한국개발전략연구소는 축산기술센터를 거점으로 지역 축산 발전을 위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News 한국문화, 도쿄에서 만나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 주일한국문화원(원장 공형식)과 함께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해 3월 18일(화)부터 4월 2일(수)까지 일본 도쿄의 주일한국문화원에서 한일 전통문화 교류 행사 ‘전통의 손길, 오늘의 만남’을 개최한다.

한일 양국의 전통문화를 아우르며 화합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한 이번 행사는 네 가지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양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韓紙)’와 ‘와시(和紙)’를 활용한 공예 및 대표작품 교류 전시와 전통 종이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국제교류 세미나 ‘종이, 문화를 잇다’ △‘다른 듯 닮은, 한국과 일본의 식문화’를 주제로 양국의 상차림, 절기음식, 전통 과자를 비교 전시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장문화 전시, 잔치 음식 시식 체험행사를 운영하는 ‘한식, 온기를 잇다’ △한복 전시와 한복 입어보기 체험, 사진 찍기(포토존) 등 다양한 참여 행사를 진행하는 ‘한복, 시간을 잇다’ △제기차기, 공기놀이, 팽이치기 등 전통 놀이와 연날리기 가상현실(VR) 체험 등 세대를 아우르는 ‘놀이, 세대를 잇다’를 마련했다.

3월 19일(수)에는 개막 행사가 진행됐다. 양국 정부 관계자와 문화예술계, 학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양국 전통 다과를 준비하고 축하공연으로 미키 미노루 작곡 ‘소나무’의 가야금 독주와 한국전통무용 ‘춘앵무’ 공연, 한복 패션쇼 등을 진행했다.

특히 개막행사 당일 도쿄 긴자에 있는 한식당 ‘윤가*’에서 ‘한식문화 콘셉트 레스토랑’을 운영했다. 대한민국 제66호 식품명인 윤미월 셰프와 도쿄 ‘오리온 스시’의 요시하라 마시야스 헤드셰프가 협업해 한일 양국의 전통 음식을 준비한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일본은 육수, 된장, 간장 등 유사한 식자재를 공유하면서도 각국의 개성을 담아 고유한 식문화를 발전시켰다. 한국과 일본의 요리 명인은 이러한 전통에 현대적 감각을 결합한 코스요리를 선보인다. 양국의 음식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우호 증진을 도모할 계획이다.

News 현대로템, 2025 SCSE 참가

현대로템은 20일(현지시간)부터 22일까지 대만 가오슝시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 시티 서밋&엑스포(이하 2025 SCSE)’에 참가한다고 20일 밝혔다.

SCSE는 2014년 처음 개최된 이후 매년 열리는 대만의 대표 스마트 시티 박람회로, 스마트 시티 관련 기술과 상품을 전시하고 행사를 진행한다. 올해 박람회는 디지털 및 녹색 혁신을 주제로 스마트 의료와 5세대(5G) 이동통신 지능형 사물 인터넷, 탄소중립 혁신, 친환경 교통수단 등을 다룬다.

현대로템은 이번 박람회에서 대만의 수소 전략과 가오슝시의 탄소중립 정책에 기반한 수소 사회 종합 솔루션을 알리는 데 집중한다. 2023년 대만 국가발전위원회는 ‘2050 탄소중립 수소 핵심 전략 액션플랜’을 발표하고 수소에너지 기술 개발과 공급망, 인프라 확충을 위한 중장기 정책과제를 수립했다. 특히 가오슝시는 대만의 대표적인 중화학 산업도시로, 지난해 수소 충전소 설치를 완료했으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모든 버스를 전기, 수소 버스로 대체하는 등 친환경에너지 산업도시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인 ‘HTWO’(에이치투)와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의 모든 단계에서 고객의 다양한 환경적 특성에 최적화된 맞춤형 패키지를 제공하는 수소 종합 솔루션 ‘HTWO Grid’(에이치투 그리드)에 발맞춰 다각도로 전개하고 있는 수소 사업을 소개한다.

우선 수소의 생산부터 활용까지 이어지는 생태계를 구현한 디오라마를 전시해 미래 수소 사회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바이오 가스를 연료로 수소를 생산해 충전소 등에서 활용되기까지의 자원순환 과정을 설명해 주는 디오라마엔 현대로템의 수소 인프라와 모빌리티 사업 역량이 집약돼 있다.

수소전기트램 모형 등을 전시해 관람객들에게 지속 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소개한다. 현대로템이 추진하고 있는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라 수소전기트램의 개발 역사부터 디자인, 기술력 등 핵심 내용을 담은 영상 미디어를 통해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현대로템은 수소의 생산부터 활용까지 수소 사업 전반을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다며, 이번 박람회를 통해 당사의 수소 사업 경쟁력은 물론 미래 수소에너지 기술 리더로서의 역량을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News KG 모빌리티 ‘무쏘 EV’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지난 5일 출시한 도심형 전기 픽업 ‘무쏘 EV’가 본계약 2주 만에 누적 계약 3200대를 돌파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이어가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이러한 실적은 지속되고 있는 전기차 캐즘 현상(일시적인 수요 정체)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전기 픽업 모델에 대한 기대감에 용도성까지 더해지면서 기대 이상의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KGM 측은 설명했다.

KGM이 ‘무쏘 EV’ 계약 고객을 분석한 결과, 고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모델은 ‘블랙 엣지 2WD’였다. 최상위 트림인 블랙 엣지의 선택률이 55%로 가장 높았으며, 엔트리 트림인 MX도 45%를 차지하며 균형 잡힌 수요를 보였다. AWD 모델의 선택률은 약 40%로, 강력한 퍼포먼스와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의 주행 성능을 고려하는 고객들의 니즈가 반영됐다.

고객 유형별로는 개인 고객이 45%, 소상공인 및 개인 사업자 고객이 55%를 차지했다. 이는 화물 운송과 레저용품 적재가 가능한 넉넉한 데크 공간은 물론, 구매부터 이용 단계까지 높은 경제성을 갖췄다는 점에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다양한 고객층에서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연령대별로는 차량 구매력이 높은 50대(38.3%)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성별로는 남성(88.6%)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해 픽업 시장의 주요 고객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외장 선호도는 그랜드 화이트(54%), 스페이스 블랙(23%), 블레이징 골드(9%), 마블 그레이(7%) 아마조니아 그린(5%)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 옵션은 △유틸리티 루프랙 △세이프티 선루프 △3D 어라운드뷰 모니터링 시스템의 인기가 높았다.

온라인 전용 모델인 ‘무쏘 EV 스페셜 에디션(SE)’도 출시 1시간 30분 만에 완판되며 인기를 입증했다. 해당 모델을 계약한 고객은 평균 연령 44.7세의 남성으로, AWD 선택률은 약 60%로 나타났다.

KGM은 전기 픽업인 무쏘 EV는 전기차 라인업을 입체적으로 구성해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탄생한 모델이라며, 전기차 캐즘을 깨고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이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News 테스토, 가스 측정기 개발

측정 기술 분야의 세계 선두기업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Testo Korea, 지사장 전경웅)는 대기환경 오염 예방을 위한 복합 가스 측정기 ‘testo 350K’를 선보였다.

2025년 1월 1일부터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3에 따라 가스히트펌프(GHP)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로 관리 포함됐다. 이에 가스히트펌프(GHP)는 대기 배출시설로 신고해야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중인 가스히트펌프(GHP)는 환경부 인증 저감 장치를 의무적으로 부착해야 한다.

환경부는 대기오염물질과 배출시설의 기준을 규정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제한하고 있다.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황산화물(SOx), 황화수소(H2S) 등은 호흡기와 심혈관계, 신경계 등에 영향을 끼쳐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부식이나 노화 등 재산 피해와 기후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해가스는 색깔이나 냄새로 위험성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유해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복합 가스 측정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testo 350K’는 질소산화물(NOx)을 비롯해 산소(O₂),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일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₂), 이산화황(SO₂), 탄화수소(HC), 황화수소(H₂S) 등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다기능 연소가스 분석시스템이다. 다양한 연소가스 센서 중 최대 6개를 선택해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별도의 도구 없이 사용자가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센서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고농도 가스가 예상치 못하게 높아졌을 때 희석 기능이 활성화되는 ‘측정 범위 확장 기능’을 탑재해 고농도 가스도 제한 없이 측정할 수 있다.

‘testo 350K’는 측정 센서와 분석기 샘플링 부품이 있는 공간이 분리돼 있어 측정 센서를 발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샘플링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로 인한 측정값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정밀하고 안정된 측정이 가능하며, 순환식 냉각시스템으로 응축수 및 거친 산업 환경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컬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측정 상황, 계기 정보, 센서 상태 등 모든 정보가 한글로 표시될 뿐 아니라 단 5단계 만으로 연소가스 분석이 가능해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News LG엔솔, 배터리팩 솔루션 개발

LG에너지솔루션은 두산밥캣(Bobcat)과 ‘소형 건설장비 배터리 팩 솔루션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두산밥캣 건설장비 대표 모델의 전동화 프로젝트에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를 탑재하기로 했다. 또 향후 다양한 제품에 확산 적용이 가능한 건설장비용 표준화 배터리팩을 공동 개발하고 북미 등 주요 시장 공략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스키드로더(Skid-steer Loader), 굴착기 등 건설장비 외 트랙터와 같은 농업·조경용 장비(Ground Maintenance) 제품에도 전동화를 확대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사업 논의도 적극 진행하기로 했다.

두산밥캣 박현철 부사장은 “뛰어난 품질과 안정성을 갖춘 LG에너지솔루션의 셀을 바탕으로 소형 건설장비에 적합한 팩을 함께 개발하게 돼 기쁘다”면서 “소형 건설장비용 배터리 팩을 표준화해서 글로벌 최대 시장인 북미 등지에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 소형전지사업부장 오유성 전무는 “글로벌 건설장비 업체 두산밥캣과 협력해 전동화 기술개발 및 사업 추진을 하게 돼 기대가 크다”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전동화 시장 선도를 위해 앞으로도 최초, 최고의 도전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설장비의 경우 사용 환경이 눈, 비 혹은 폭염 등에 그대로 노출되는 실외인 경우가 많고, 작업 종류에 따라 크고 작은 출력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안정성이 필수적이다. 큰 온도차, 먼지, 긴 제품 운영 시간 등 극한의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구동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는 고전압·고밀도·장수명 등 기본적 특성뿐 아니라 저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고 높은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번 양사 협력의 배경에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술리더십이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다.

두산밥캣은 소형 건설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1위 기업이다. 최근 전동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1월에 전동화 전담 조직을 신설한 데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경기도 안양시에 자체 R&D 센터를 설립해 배터리 팩 제작 기술 검증을 하는 전동화 연구소를 출범할 예정이다.

News 삼성전자, 2025 유럽 테크 세미나

삼성전자가 18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2025년형 TV의 차별화된 기술과 AI TV 신기술을 소개하는 ‘2025 유럽 테크 세미나’를 개최한다.

테크 세미나는 2012년부터 전 세계 주요 지역에서 영상·음향 분야의 미디어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삼성 TV의 최신 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행사로, 업계 관계자들이 신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다.

올해 테크 세미나에서는 2025년형 Neo QLED·OLED·라이프스타일 TV뿐만 아니라 AI 기반 시청 경험 및 사운드 기술을 소개한다. 2025년형 Neo QLED 4K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능으로 우수한 블랙 표현력과 HDR 정확도를 구현한다. 또 △‘AI 업스케일링’ △‘모션 인핸서’ 등 기존 8K 모델의 차별화 기술을 4K에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2025년형 OLED는 ‘글레어프리 2.0(Glare Free 2.0)’으로 빛 반사를 줄여 선명한 화면을 구현한다. 128개의 AI 뉴럴 네트워크가 적용된 3세대 4K AI 업스케일링을 통해 정교한 해상도를 제공한다. 여기에 ‘OLED HDR’ 기술을 더해 전년 대비 밝기와 명암비를 업그레이드시켰다.

향상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더 프레임 프로(The Frame Pro)’는 Mini-LED 로컬디밍 기술을 적용해 일상적인 시청 환경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더 프레임 프로’ 사용자는 삼성 아트 스토어를 통해 약 3000점 이상의 디지털 아트를 감상할 수 있으며, ‘무선 원커넥트 박스’를 지원해 복잡한 케이블 없이도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다.

콤팩트한 신규 디자인과 선명한 화질을 갖춘 ‘더 프리미어 5(The Premiere 5)’는 터치 솔루션을 탑재한 프로젝터로, 단순한 시청을 넘어 교육, 비즈니스,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번 테크 세미나에서는 이를 활용한 게임 및 키즈 콘텐츠 등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포함한 다양한 시나리오와 편의성을 시연한다.

News 현대차 ‘2025 iF 디자인 어워드’

현대자동차그룹이 독일 국제포럼디자인(International Forum Design)이 주관하는 ‘2025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에서 총 26개의 상을 휩쓸며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 경쟁력을 증명했다.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iF 디자인 어워드는 1954년부터 매년 시장에 출시됐거나 출시 예정인 프로젝트 중 디자인 차별성과 영향력을 평가해 부문별 최고 디자인을 선정한다. 올해 현대차그룹은 △제품(Product) △프로페셔널 콘셉트(Professional Concepts)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실내 건축(Interior Architecture)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서비스 디자인(Service Design) 등의 부문에서 본상 26개를 받았다.

제품 부문 자동차(Automobiles) 카테고리에서는 현대차 아이오닉 9, 디 올 뉴 팰리세이드, 이니시움 콘셉트, 기아 EV3, 제네시스 엑스 그란 베를리네타 콘셉트 등이 본상을 수상하며 현대차·기아 디자인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수소 전기 콘셉트카인 이니시움은 현대차의 신규 디자인 언어 중 하나인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을 바탕으로 스틸의 자연스러운 탄성을 살리고 소재에서 오는 강인함과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수소가 가진 순수하면서도 강인한 본성을 부각했다.

EV3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에 기반해 대담하고 강건한 외장과 생활공간을 닮은 실내 디자인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엑스 그란 베를리네타는 제네시스만의 디자인 요소들을 레이싱 게임 특색에 맞게 반영해 섬세하면서도 강렬한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했다.

이 밖에도 수소 기반 개인 맞춤형 모빌리티 DICE, 스마트 택시 인디케이터, 글로벌 EV 홈 충전기, E-Pit 급속 충전기, 차량용 멀티 행어 셋트 등이 제품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수상은 현대차·기아·제네시스 각 브랜드의 디자인 철학과 미래에 대한 영감이 응집된 결과라며, 자동차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News LG생건, ‘오휘 얼티밋 커버 데니어 쿠션’ 출시

LG생활건강은 디에이징(De-aging) 솔루션 브랜드 오휘(OHUI)에서 0.5호 단위로 세분화한 색상과 2가지 커버력으로 내 톤에 딱 맞는 선택이 가능한 ‘얼티밋 커버 데니어 쿠션’을 출시했다.

오휘의 신제품 얼티밋 커버 데니어 쿠션은 기존 쿠션 컬러 체계에서 자신의 피부 톤과 취향에 맞는 호수를 찾기 어려워하는 고객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기획됐다.

21호를 기준으로 19호, 20.5호, 21호, 21.5호, 22.5호 등 반 톤씩 컬러를 세분화해 선택의 폭을 넓힌 것이다. 가령 ‘몇 년간 잘 써왔던 21호가 어느 순간 뜨는 느낌이 들고, 23호를 쓰기에는 너무 확 어두워지는 게 고민’인 고객은 21.5호를, ‘21호보다 딱 반 톤만 밝히고 싶다’는 고객은 20.5호를 선택하면 된다.

여기에 445만 개 이상 판매*된 오휘 쿠션 커버력의 노하우가 더해졌다. 고객들이 커버가 필요한 순간이나 피부 고민에 따라 커버 밀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70D와 100D 등 2가지 커버 데니어(Denier, 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구분했다. 70D는 얇고 자연스러운 커버력으로 촉촉한 피부 표현과 모공 및 결 정돈이 가능하다. 기미와 잡티 커버까지 원할 때는 100D를 사용하면 보다 촘촘하고 매끈하게 자신의 ‘추구미’에 맞는 표현을 할 수 있다.

오휘 얼티밋 커버 데니어 쿠션은 탄력 케어 성분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수분 케어 성분 레이어링 히알루론산, 진정 케어 성분 블랙 트러플 추출물을 담은 제형이 피부 컨디션을 끌어올려 건강한 광채를 선사한다.

오휘 브랜드는 얼티밋 커버 데니어 쿠션은 수많은 쿠션 속 내게 맞는 제품을 찾지 못했던 고객들에게 미묘한 취향까지 반영한 정교한 선택지를 제공할 것이라며, 지금껏 몰랐었던 나만의 ‘0.5호’를 찾아보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News 해리포터X클리오, 컬래버 전 제품 폭발적 반응

클리오(CLIO)가 지난 3월 1일부터 7일간 진행된 올영 세일 기간 동안 전년 동기 대비 25% 매출이 성장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하고 색조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새롭게 선보인 해리포터 컬래버 제품은 출시 3일 만에 한 달 예정 판매 물량이 모두 소진되며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이번 컬래버는 △킬 커버 파운웨어 쿠션 디 오리지널 △프로 아이 팔레트 에어 △크리스탈 글램 틴트 3종으로 구성됐다. 현재까지 총 판매량 13만 개를 돌파하며, 베이스, 아이, 립 전 카테고리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해 더욱 의미를 더한다. 또한 1일 차 올영 라이브에서는 전 브랜드 통합 역대 기네스 매출을 경신하며 브랜드데이 최고 일매출 신기록을 세웠다.

특히 국내 화장품 브랜드사 최초로 진행한 해리포터 캐릭터 컬래버는 원작자 J.K. 롤링의 해리포터 세계관을 반영한 독창적인 디자인과 제품 기획이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으며, 그간 쿠션 카테고리 컬래버는 한 번도 성사된 적 없어 이례적인 성과로 꼽힌다.

해당 컬래버 제품들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권역으로의 진출을 도모 중이다. 상반기 내 동남아 6개국 론칭을 확정 지었고, 일본 및 중화권까지 신규 진출 국가를 확대하며 전 세계 해리포터 팬들과 만남의 기회를 넓혀갈 계획이다.

한편 올리브영N 성수점에서는 3월 6일부터 16일까지 해리포터 테마 팝업을 선보였다. 론칭 전부터 약 5000명의 사전 예약이 매진되는가 하면 현장 웨이팅 인원까지 누적으로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전해진다. 행사장 내부는 해리포터의 마법 세계 콘셉트로 방문객들이 해리포터 세계관이 반영된 공간과 제품 체험을 통해 즐거움과 신비로움을 느낄 수 있게 구성됐다.

함께 선보인 ‘킬커버 메쉬 글로우 에센셜 쿠션’ 역시 촉촉하면서도 뛰어난 밀착력으로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으며 올리브영 상위 랭킹에 진입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클리오 이지원 마케팅본부장은 “이번 올리브영 행사 기간 해리포터 컬래버 제품과 신제품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면서 해외 시장 진출도 준비 중”이라며 “올해 혁신적인 제품 개발과 차별화된 컬래버레이션을 지속해서 선보일 예정이니 많은 기대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클리오는 2025년 핵심 경영 목표인 ‘고객 경험’ 강화를 위해 2분기에도 몰입감 높은 다양한 콘셉트의 팝업 행사를 선보이며,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교감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실록출판사

서울시 마포구 새터산14길 11, 201

사업자등록번호 121-50-04254

02-372-2502

editor@koreahistorybook.com